보도자료에서 자주 나오는 '약자 발굴', '사회적 고립'. 이에 따른 민간 복지의 역할

2024. 4. 15. 11:31푸른복지

0123456789
 
 
 
::: 공부 공유 :::
보도자료에서 자주 나오는 '약자 발굴', '사회적 고립'.
이에 따른 민간 복지의 역할
#
오늘은 일단 3개의 보도자료를 살펴보고,
이에 따라 민간 복지 기관이 집중할 부분을 살피겠습니다.
3월 21일 보건복지부 보도자료입니다.
2024년 보건복지부 주요 정책 추진계획 발표인데요.
2번 약자복지 2.0을 보면 ‘약자 발굴체계 고도화’와 ‘사회적 고립 예방체계 구축’이 있습니다.
핵심 키워드는 ‘약자 발굴’이고, ‘사회적 고립’입니다.
다음은 3월 25일 보건복지부 보도자료입니다.
위기정보 활용해 3월 25일부터 5월 17일까지 전국 지자체와 협조하여 복지 사각지대 발굴한다는 내용입니다.
핵심 키워드는 ‘약자 발굴’입니다.
다음은 4월 4일 서울시 보도자료입니다.
서울연구원, 서울시복지재단이 손잡고 스마트안부확인으로 사회적 고립, 고독사 함께 막는다 입니다.
핵심 키워드는 ‘사회적 고립’입니다.
잠깐 살펴봤지만, 보도자료의 주요 키워드는 ‘약자 발굴’과 ‘사회적 고립’ 입니다.
아마도 이 흐름은 단기적으로 최소 몇 년간 즉, 현 정부와 지자체장의 임기 동안 계속 될 겁니다.
또한 1인 가구의 증가, 핵개인 사회 등 변화를 고려하면, 장기적으로도 계속 되리라 판단합니다.
#
지금까지 흐름을 살폈습니다.
그렇다면 약자 발굴과 사회적 고립을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
일단 약자일수록 고립되기 쉽고, 고립되니 더욱 약자가 되기 쉽습니다.
사실 이 둘은 연관성이 매우 깊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대응책이 있을까요?
첫째는 문제로 터져나오는 걸 막는 겁니다.
즉, 증상을 예방하는 겁니다.
둘째는 약자도 고립되지 않고 관계하도록 돕는 겁니다.
즉, 근원부터 예방하는 겁니다.
이 상황에서 공공과 민간은 각각 어디에 집중할까요?
공공복지는 문제를 막는 데 집중할 겁니다.
특히 공공복지의 여력과 여건을 생각하면 여기에 집중할 수 밖에 없습니다.
보도자료에서 계속 ‘발굴’이라는 용어를 쓰는 건 이런 맥락일 겁니다.
#
그럼 민간 복지기관은 어디에 집중해야 할까요?
약자라 해도 고립되지 않도록, 관계를 살리는 데 집중하면 좋겠습니다.
문제화 증상을 막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누군가는 근원을 다루어야 합니다.
급하다고 민간까지 달려가 버리면 증상까지 더 악화될 수 있습니다.
대책 없이 관계가 더 무너지면, 문제가 더 터져나오고, 그럴수록 더 급급해질 겁니다.
게다가 역할을 분담해야 민간의 정체성도 뚜렷해집니다.
사회사업 정체성이 뚜렷해져야 존재감도 뚜렷해집니다.
그렇지 않고 발굴에 끌려가면 정체성이 희미해져 공공복지의 하청처럼 인식될 겁니다.
#
정리하겠습니다.
약자 발굴과 사회적 고립이 주요 키워드입니다.
이 흐름은 단기적, 장기적으로 계속 이어질 겁니다.
이 과정에서 증상 예방은 공공복지가 더 적극 나설 겁니다.
이럴수록 민간 복지는 근원을 다루면 좋겠습니다.
관계를 살려 예방하는 데 집중하면 좋겠습니다.
이게 필요하기도 하고 실리도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