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사업(195)
-
개체와 환경의 나선형 순환
개체는 환경의 자극을 받되 개체 내부의 구조에 따라 변화를 결정합니다. 이로써 개체는 변합니다. 이것이 환경이 개체에 영향을 미치는 개념도입니다. # 그런데 개체와 환경은 상대적 개념입니다. 무엇을 중점에 두느냐에 따라 환경이기도 하고, 개체이기도 합니다. 다음 그림에서 A는 ..
2013.05.09 -
환경의 구성 - 다른 개체를 포함하는 환경
체계는 부분체계로서 또는 하위체계로서 개체와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에서 환경이란 개체와 구분할 수 있는 모든 것을 가리킵니다. 즉 체계 내에서 개체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환경에 해당합니다. 우리는 보통 환경하면 물리적 혹은 제도적인 자연, 경제, 문화, 조직 등과 ..
2013.05.08 -
체계의 내부구조 그리고 자율성과 자생성
(개방)체계는 환경과 구조접속 되어 있습니다. 환경과 에너지, 물질 등의 교환 관계를 가집니다. 그런데 개방체계라 하여 모든 측면에서 열려있는 것은 아닙니다. 경계는 두 가지 기능을 하는데, 에너지 또는 물질 등을 교환하는 기능과 함께 다른 하나는 체계를 보호하는 기능입니다. 체..
2013.05.07 -
생태체계와 구조접속 : 사회사업 위치와 역할
모든 체계는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체계가 환경과 관계를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 폐쇄체계는 환경과 접하고는 있으나, 구조접속된 상태는 아닙니다. 교환 관계가 전혀 없기 때문입니다. 반면 개방체계는 환경과 접하고 있을 뿐 아니라 구조접속 되어있습니다. 교환 관계..
2013.05.02 -
개방체계와 엔트로피 : 자생, 공생, 소박한 사회사업
엔트로피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열역학 제 2법칙으로 불리는데, 열에너지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며, 외부 간섭이 없는 한 열에너지가 낮은 곳에서 다시 높은 곳으로 역으로 이동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이 때 사용할 수 없게 전환된 에너지를 '엔트로피'라 이해할 수 있습니..
2013.04.30 -
당장의 현실론으로 엄중한 현실을 외면한다면...
사회복지사업을 사회서비스란 이름으로 바우처화 하려는 흐름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는 사회복지사업을 시장 기제로 해결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크게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물론 정부가 분명 사회복지사업의 공공성을 제대로 알지 못한 측면이 크다고 봅니다. 하지만 이것이 ..
2013.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