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9. 24. 08:00ㆍ모음집/복지와 시스템
원인과 결과를 단선적으로 파악하는 관점이라면,
결과를 변화시키려 할 때
당연히 결과에 직접 작용하는 원인에 관여할 것입니다.
하지만 되먹임 구조를 가진 생태체계라면 어떠할까요?
이 때에도 결과에 직접 작용하는 원인에만 관여해야 할까요?
되먹임 구조라는 것은 멀리 떨어진 요소라 하더라도
되먹임 구조를 거쳐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결과 또한 다시 원인이 되어 구조 곳곳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점입니다.
따라서 생태체계에서는 결과를 바꾸기 위해
직접 작용하는 원인에만 주목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생태체계 내 다양한 요소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살펴
되먹임 구조를 파악합니다.
이로써 비교적 저항이 적으면서도 구조 및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의외의 관여점에 주목합니다.
이와 같이 생태체계를 되먹임 구조로 파악했을 때 도출할 수 있는 유효한 사회사업 실천 개념이
바로 핀커스와 미나한의 4체계 이론이며, 콤튼과 갤러웨이의 6체계 이론입니다.
#
핀커스와 미나한은
체계를 4체계로 분류할 수 있다 설명합니다.
당사자(클라이언트)체계 : 욕구를 표현한 당사자입니다.
변화매개체계 : 욕구를 표현한 당사자와 함께 변화를 도모하는 사회복지사 체계입니다.
표적체계 : 상황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관여해야 하는 표적이 되는 체계입니다.
행동체계 : 표적체계의 변화를 위하여 협력하여 함께 행동해야 하는 체계입니다.
그렇다면 4체계 이론은 생태체계와 어떻게 접목될까요?
#
사회사업은 생태체계를 대상으로 합니다.
환경 속의 인간으로 봅니다.
'인간'에만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과 인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살핍니다.
환경과 인간을 총체성으로 보는 것이 생태체계입니다.
예를 들면
순이가 비만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사회사업은 순이 개인에게서만 찾지도 않고,
순이의 환경에서만 찾지도 않습니다.
순이의 생태체계를 살핍니다.
생태체계 내 관계와 상호작용을 살핍니다.
다음은 가상으로 순이의 생태체계를 그린 내용입니다.
만약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가 있다면 어떨까요?
순이 : 통통합니다.
어머니 여자친구 -> 어머니 : 어머니 여자친구가 '자기 자녀가 수퍼모델 되었다'고 순이 어머니에게 자랑합니다.
어머니 -> 조부 : 순이 어머니는 '아빠 체형 닮아서 순이가 뚱뚱하다'고 조부에게 짜증을 냅니다.
조부 -> 조모 : 조부는 화풀이를 조모에게 합니다.
조모 -> 순이 : 조모는 이게 다 순이가 통통해서 그렇다고 판단하여 '돼지야 그만먹어'하며 순이를 타박합니다.
순이 : 순이는 타박을 받아 스트레스가 쌓여 폭식을 합니다.
조모 -> 순이 : 조모는 순이의 폭식 행동을 보고 이를 중단시키기 위해 더 강하게 타박합니다.
순이 : 더 폭식을.....
#
사회사업은 순이의 생태체계 내 관계와 상호작용을 살핍니다.
되먹임 구조를 살핍니다.
그렇다면 여기에서 4체계이론에 따라 분석합니다.
당사자(클라이언트)체계는? 순이 입니다.
변화매개체계는 사회복지사 체계입니다.
이제 중요한 부분입니다.
과연 표적체계는 누구일까요?
생태체계 내 관계와 상호작용, 되먹임 구조를 살핀다면 표적체계는 순이가 아닙니다.
경우에 따라 어머니일 수 있고, 어머니 여자친구 일 수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조부일 수 있고, 조모일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표적체계와 당사자체계가 동일하지 않다는 점입니다.
만약 당사자체계가 곧 표적체계라면 굳이 이를 분리할 이유가 없습니다.
사회사업은 경우에 따라 당사자와 표적이 동일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욕구를 표현한 당사자와 표적은 다르다는 전제가 담겨있습니다.
따라서 당사자체계와 표적체계를 분리하여 별도로 살핍니다.
이제 이 경우에는 어머니를 표적체계로 삼아보겠습니다.
그렇다면 행동체계는 누구일까요?
어머니와 관계하고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이 될 것입니다.
어머니에 관여하기 위해서는 언니, 조부, 조모, 어머니여자친구 그리고 당사자까지 행동체계가 될 수 있습니다.
#
사회사업은 생태체계를 대상으로 합니다.
생태체계 내 관계와 상호작용 즉 되먹임 구조를 파악합니다.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의외의 지점에 관여합니다.
이를 통해 생태체계가 당사자체계와 공생하도록 도모합니다.
당사자체계에만 혹은 환경체계만 도모하는 것이 아닙니다.
관계와 상호작을 도모함으로써 당사자체계와 환경체계 모두를 포함하는 생태체계를 도모하는 것입니다.
사회사업은 생태체계 관점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지점을 살핍니다.
이로써 생태체계 내 저항이 적으면서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의외의 관여점에 주목합니다.
의외의 관여점에 주목함으로써 체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생태체계가 공생을 이루도록 도모합니다.
사회사업 생태체계 관점을 따르면 자연스럽게 의외의 관여점에 주목합니다.
물론 직접적 원인을 배제하지는 않으나, 사회사업은 오히려 생태체계 내 의외의 관여점에 주목합니다.
의외의 관여점.
이 관점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사회사업이 그렇게 강조하는
4체계 이론, 6체계 이론입니다.
- 사회사업실천방법론(상), 장인협, 서울대학교출판부, 74쪽 [본문으로]
'모음집 > 복지와 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형 2 : 성장의 한계 (0) | 2013.10.10 |
---|---|
원형 1 : 시간지연이 있는 적응 과정 (0) | 2013.10.01 |
시간지연 표식과 되먹임 특성 표식 (0) | 2013.09.19 |
되먹임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 : 직관법과 계산법 (0) | 2013.09.17 |
되먹임 구조의 특성 3 : 시간지연 (0) | 2013.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