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2. 21. 08:00ㆍ모음집/복지와 생태
19세기까지 자연은 보호하고 공존해야 하는 대상이 아닌
개발하고 발굴해야 하는 자원의 개념이었다.
자연을 보호한다는 개념은 19세기 중반까지 매우 생소한 개념이었다.
이 때는 오히려 근면과 성실을 강조하여
자연을 개발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악한 행실로 인식하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생태를 바라보는 관점 또한 이후 크게 달라졌다.
자연생태를 자원으로 인식하던 관점이 극심해지면서 생태 위기를 가져왔고,
지구를 포함하는 자아 개념
#
사회사업 또한 대상자에만 머물렀던 '맥락 속의 인간'에서 벗어나
'환경 속의 인간'으로 발전하였다.2
인간(또는 환경)에 치우친 경향을 보인다는 반성에서 시작하여
1960~1970년대 체계이론과 생태이론을 접목한다.
이를 통해 인간 뿐 아니라 환경을 핵심 요소로 깊게 고려하기 시작했음은
사회사업 흐름에 깊은 의의를 가진다.
다만 여전히 대상자를 중심에 두고,
환경은 활용해야 하는 자원 또는 배경으로 주로 보는 개념3에 머문다.4
생태학으로 보면 여전히 과거 생태 개념에 머물러 있는 셈이다.
#
이제 사회사업은 어떠해야 할까?
생태학이 인간과 생태를 하나의 통합된 체계로 바라보는 관점까지 발전했음을 고려하면,
사회사업 또한 대상자에만 초점을 두고 사회생태는 주로 자원으로 인식하는 수준에서 벗어날 때다.
만약 사회사업이 계속해서 사회를 단지 자원으로만 인식한다면,
이는 사회사업이 사회를 '내재적 가치를 가진 대상'으로 보지 않음을 반증한다.
또한 인간을 사회와 분리해도 인간은 자원만 있으면 살 수 있는 존재로 보고 있음을 반증한다.
더욱 심각한 것은 사회사업이 계속 사회로부터 자원만 획득하여 당사자에게 투입한다면,
'모음집 > 복지와 생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체계로부터의 분리 개입- 외면하는 부작용을 초래 (0) | 2013.02.28 |
---|---|
도움과 나눔의 다양성과 풍부함 (0) | 2013.02.26 |
동귀결성과 다중귀결성 (0) | 2013.02.19 |
생태 윤리로 살펴본 사회사업 생태체계 윤리 (0) | 2013.02.14 |
복잡 적응계 문제를 대하는 태도 (0) | 2013.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