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 적응계 문제를 대하는 태도

2013. 2. 12. 08:00모음집/복지와 생태

일차 방정식의 경우 하나의 정답을 설정하는 것에 문제가 없다.  

우리는 일차 방정식과 같은 정답을 찾는 교육 방식에 익숙하니, 
은연 중에 '정답'을 찾는데 집중한다. 
오히려 '정답'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집중하는 태도는 훌륭하기까지 하다.


하지만 우리가 사는 세상은 일차 방정식이 아니다. 

또한 선형이 아닌 예측할 수 없는 곡선(비선형)에 가깝다. 


'이 정도 수준이면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정도면 해결이 될 것이다'식의 
하나의 정받을 설정하여 대응하는 방식은 현실과 어긋나기 쉽다. 
때로는 정답이라 생각했던 것이 오히려 현실을 왜곡시키고 교란한다.

특히 사회사업이 접하는 대상은 복잡적응계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복잡적응계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하나의 정답'의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 자체에 큰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오히려 위험하기까지 하다.
복잡적응계의 모든 경우에 통용되는 일반 해법을 찾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결국 복잡하고 급변하는 체계에서는 
'하나의 정답'을 찾는 태도보다, 
'맥락을 이해'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맥락을 이해하면 다양한 접근법을 발견할 수 있다.  

복잡적응계에서 해법을 찾으려면 우선 근본 개념과 맥락을 이해한 후 대응하는 것이다. 
맥락을 이해하되, 상황에 따라 조합하고 적용하는 것이 유용한 해법에 가깝다. 

정답 보다는 맥락을 이해하고 대응하며 노력하는 태도. 
이것이 복잡적응계 문제를 대하는 적합한 태도다.


1


  1. 참조) 그림으로 이해하는 생태사상, 김윤성, 권재준, 개마고원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