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7. 23. 08:00ㆍ모음집/복지와 시스템
사회 네트워크는 멱함수의 특성을 가집니다.
즉 관계망의 비중으로 볼 때
그래프 왼쪽과 같이 적은 관계망을 가진 다수가 있고,
그래프 오른쪽과 같이 평균 보다 훨씬 많은 관계망을 가진 소수가 존재하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사회 네트워크는 전형적인 척도없는 네트워크의 모양을 가지며,
복잡계의 특성을 가집니다.
#
그렇다면 네트워크에서 약한 부분은 어디일까요?
네트워크라 하더라도 중앙이 있고, 외곽이 있습니다.
중앙으로 들어갈수록 연결망이 다수일 뿐 아니라 복잡하게 중첩됩니다.
반면, 외곽으로 나올수록 연결망이 빈약해지고 단선화됩니다.
결국 네트워크는 외곽으로 나올수록 연결망이 줄어들고 약해지는 셈이므로
외곽부터 붕괴되는 경향을 가집니다.
#
그렇다면 사회 네트워크의 경우 외곽에 위치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요?
연결망이 적은, 즉 사회적 자본이 적은 사람이 위치합니다.
반면 연결망이 많은, 즉 사회적 자본이 많은 사람은
전체 네트워크의 중앙에 속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제 많은 네트워크 구조를 살펴도 연결망이 많은 노드는 전체 네트워크의 중앙에 위치하고
연결망이 적은 노드는 전체 네트워크의 외곽에 위치함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인터넷 네트워크입니다.
외곽으로 갈수록 링크 수가 점점 줄어들고 단순해지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네트워크의 위치는 연결망의 크기와 상관합니다.
그런데 연결망의 크기는 그 사람의 지위와 상관합니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것은 한 사람의 연결망 크기는
직업지위가 상층으로 갈수록, 혹은 교육을 많이 받을수록 연결망이 증가합니다.
반면 지위가 하층으로 갈수록, 교육을 많이 못 받을수록 연결망이 줄어드는 셈입니다. 3
게다가 사회 네트워크에서는 비슷한 사람끼리 서로 모이고 연결하려는 성향을 나타냅니다.4
연결망을 많이 가지고 있는 즉 사회적 자본이 많은 사람들은
서로 모이고 연결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네트워크의 중심을 형성하게 되는 셈입니다.
네트워크에서 유유상종의 효과가 커질수록 중심이 견고해지기 때문에
그만큼 연결망이 적은 즉 사회적 자본이 적은 사람들은 네트워크의 외곽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셈입니다.
#
결국 네트워크는 구조상 연결망이 적은 외곽부터 무너지는데,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은 연결망의 크기가 클 뿐 아니라 유유상종으로 서로 연결되면서
개인적으로 매우 크고 안정적인 연결망을 가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게다가 전체 사회 네트워크의 중심에 위치하여 더욱 안정적일 위상을 갖습니다.
반면 사회적 지위가 낮은 사람은 연결망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상대적으로 작고 불안정한 연결망을 가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게다가 전체 사회 네트워크의 외곽에 위치하여 분리될 수 있는 불안정한 위상을 갖습니다.
이처럼 사회적 지위가 전체 네트워크 상의 위치 뿐 아니라 개인 네트워크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물론 반대의 영향도 존재합니다.
네트워크 상의 위치가 어떠한가에 따라 사회적 지위도, 개인 네트워크의 안정성도 영향을 받습니다.
결국 이러한 상관성으로 인해 증폭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문제는 척도없는 네트워크에서 외곽의 연결망이 적은 노드가 링크를 잃게 되어도,
전체 네트워크 구조에는 영향이 적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사회적 지위가 낮은 사람의 연결망이 전체로부터 분리되어도
어느 수준까지는 사회 네트워크에서는 이것이 크게 문제화되지 않을 뿐 아니라,
네트워크 중앙에서는 이 상황을 잘 모르거나 작은 문제로 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외곽부터 무너지는 것이 지속되고 많아질수록
점차 임계점에 다다르게 되고 전체 네트워크는 어느 순간 이후부터는 빠르게 불안정해질 여지 또한 충분합니다.
임계점 이전까지는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을 뿐이지, 임계점 자체가 존재함은 명백하기 때문입니다.
#
사회사업은 환경 속의 인간의 관점을 가집니다.
이중초점 관점을 가지며, 공유영역을 다룹니다.
공유영역이라 함은 관계와 상호작용을 말합니다.
이것이 사회사업의 특성이라 소개합니다.
당사자에게만 치중하는 것도 아니요, 환경에만 치중하는 것도 아닙니다.
어느 한 쪽에 치우치는 것이 아닌,
관계와 상호작용을 다루는 것입니다.
사회사업을 네트워크 관점으로 살펴보면,
사회사업은 관계와 상호작용을 살려
당사자 측면에서는 네트워크 외곽에서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소속되도록 하고,
사회 측면에서는 네트워크 외곽의 붕괴를 막아 전체 네트워크 자체를 안정시키는 활동인 셈입니다.
- The Architecture of complexity / A.L.Barabasi http://www3.nd.edu/~networks/Publication%20Categories/03%20Journal%20Articles/Physics/200708-01_ArchComplex-IEEE.pdf [본문으로]
-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d/d2/Internet_map_1024.jpg [본문으로]
- 참조) 사회연결망이론, 김용학, 박영사 [본문으로]
- 이를 사회네트워크에서는 유유상종 효과라 합니다. [본문으로]
- 참조) 사회연결망이론, 김용학,박영사 [본문으로]
'모음집 > 복지와 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체계 공생수용능력 2 : 단종과 다종 (0) | 2013.07.30 |
---|---|
생태체계 공생수용능력 1 : 구성원의 소수와 다수 (0) | 2013.07.25 |
생태체계의 안정성 조건 (0) | 2013.07.18 |
생태체계 관점에 충실한 생태도 (0) | 2013.07.16 |
네트워크 종류별 특성과 생태체계 (0) | 2013.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