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 저항 1 : 체계는 기본적으로 저항한다.

2013. 11. 19. 08:00모음집/복지와 시스템

정책지렛대를 찾을 때 감안해야 하는 사항을 두 가지 다루려 합니다. 
첫 번째는 바로 시스템 저항 즉 체계 저항입니다.  


모든 체계는 탄력성을 가집니다. 


일단 체계라하면

외부 또는 내부의 영향에 반하여 어느 정도 까지는 

현 구조를 유지하려는 탄력성을 가집니다.


용수철을 당겨 늘인다해도

힘을 놓으면 원상태로 돌아가는 경우가 바로 탄력성입니다.  


하지만 체계가 가진 특성인 탄력성은 다른 말로 저항성과 같습니다. 

체계를 바꾸기 위해 일정한 방향으로 영향을 주어도 

체계는 영향에 반하여 현 구조를 유지하려 저항하기 때문입니다. 


용수철을 늘려 철사로 펴려는 입장에서 보면, 

용수철이 다시 원상태로 돌아오는 탄력성이 곧 저항성입니다. 


같은 특성인데, 

안정을 추구하는 입장에서는 탄력성이요, 

변화를 추구하는 입장에서는 저항성인 셈입니다.


#


모든 체계는 변화에 저항합니다. 

따라서 체계를 의도적으로 바꾸려 해도 

체계는 저항하기 때문에 의도한 변화를 이루기 쉽지 않습니다. 


간혹 변화를 위해 노력해도 

일시적으로만 변할 뿐 얼마 가지 않고 

원상태로 돌아가는 경우를 경험하곤 합니다. 


예를 들면 한 사회사업가가 교육을 통해 변화 의지를 가지고 기관에 복귀합니다. 

하지만 기관은 변화 의지가 없고, 변화 필요성도 느끼지 못해 이전 행태를 반복합니다. 

혼자 노력하던 사회사업가는 지쳐가고 결국 기관에 적응하여 이전 상태로 돌아갑니다. 


이를 해석하면  

조직 구성원 한 명이 변했지만, 

기관 체계로는 아무런 변화가 없고 심지어 한 명의 변화에 저항하므로 

결국 기관의 변화는 이루지 못한 채 오히려 사회사업가 또한 이전의 특성으로 돌아가버린 셈입니다.


이는 기관 체계로 보면 

외부 충격에 대한 탄력성이기도 하지만, 

변화를 추구하는 입장에서는 체계가 가진 저항성이기도 합니다.


#


이처럼 체계는 저항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엉뚱한 곳에서 원인을 찾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의 시각이 아직 체계적 사고에 익숙하지 않고, 

여전히 단선적이며 일차적 관점에 익숙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변화 시도가 좌초할 경우 

우리는 특정 요인을 과도하게 탓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체계 내 특정 구성 요인에 주목하여 

특정 요인을 실패 요인으로 지목합니다. 


경기에 지면 특정 선수를 비난하고, 

사업에 실패하면 특정 부서를 비난하고, 

변화 시도가 좌초하면 특정 상사를 비난합니다. 


이는 단선적이며 일차적 관점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반드시 중요하게 살펴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좌초와 실패가 

행여 체계가 가진 구조적 특성 즉 저항성 때문은 아닌지 살펴야 합니다. 


만약 체계가 가진 구조적 특성 즉 저항성으로 인해 발생한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특정 구성 요인에 책임을 묻는 방식으로 대응한다면 

변화는 이루기 어렵습니다. 


#


사회사업은 생태체계의 공생성을 도모합니다. 

특정한 변화의 방향을 도모합니다. 


하지만 모든 체계가 그러하듯 생태체계 또한 체계이므로 

기본적으로 현 상황을 유지하려 합니다. 


따라서 사회사업가가 공생성을 도모할 때

논리적으로는 동의한다 해도 

생태체계는 이에 저항할 수 있습니다. 

어쩌면 초기에는 저항하는 것이 당연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저항의 형태가 무관심, 관찰, 주저함, 회의감 등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생태체계는 기본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고 인정해야 합니다. 

 이것이 첫 번째 감안해야 할 사항입니다. 


생태체계의 저항성을 인정해야 

생태체계의 구조를 보다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생태체계의 저항성을 구조적으로 이해할 때, 

비로소 저항이 적은 정책지렛대를 발견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1234

  1. 참조) 제5경영, 피터센게, 세종서적 [본문으로]
  2. 참조) 사회 시스템의 반상식적 행태(Counterintuitive Behavior of Social Systems), 포리스터(Jay Wright Forrester) [본문으로]
  3. 참조) 시스템 사고, 김동환, 선학사 [본문으로]
  4. 참조) 시스템 다이내믹스, 김도훈 문태훈 김동환, 대영문화사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