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 생태체계와 섬생물지리학
2013. 4. 2. 08:00ㆍ모음집/복지와 생태
일반적으로 생태계는 종의 수가 많을수록 즉 다양할수록 안정된 생태계를 이룹니다.
그렇다면 섬과 같이 고립 생태계는 어떠할까요?
섬생물지리학에 따르면
섬의 종 다양성은 두 가지의 영향을 받습니다.
둘째, 섬과 대륙의 인접성.
이 원리를 적용할 수 있는 곳은 반드시 실제 섬이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 섬이 아니더라도 고립 생태계면 섬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도시 속에 있는 산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하나씩 풀어보겠습니다.
첫째, 고립 생태계의 크기 즉 면적이 넓을수록
다양한 종이 서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전체 면적도 중요하지만,
같은 면적이라 해도 여러 개로 분절되어 있으면 다양한 종을 가질 수 없습니다.
하나의 단일한 큰 면적이 종 다양성에 유리합니다.
따라서 고립 생태계를 확대하되, 분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둘째, 고립 생태계로 종이 유입될 수 있는 대륙 인접성이 중요합니다.
대륙과 가까울수록 종 유입이 늘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대륙과의 인접성이 크다는 의미에는 전제가 있습니다.
대륙은 종 다양성이 풍부하다는 전제입니다.
또한 대륙의 다양한 종이 고립 생태계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는 전제입니다.
따라서 인접한 생태계에서 다양한 종이 쉽게 고립 생태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이 맥아더&윌슨의 섬생물지리학에서 볼 수 있는 내용입니다.
#
일반적으로 약자 생태체계는 축소될 뿐 아니라 고립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따라서 점차 외부 충격에 쉽게 깨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사회사업이란 생태체계의 공생성을 높이는 활동입니다.
축소되고 고립되는 생태체계에 관여할 경우
섬생물지리학을 통해 다음과 같이 사회사업 원리를 구상할 수 있습니다.
첫째, 생태체계의 공생 관계를 확대하되, 공생 관계가 분절되지 않도록 연결합니다.
또한 생태체계가 분절되지 않고 연결되도록 하여, 생태체계 내에서 공생이 순환하도록 합니다.
#
둘째, 인접한 외체계로부터 공생 관계를 연결 또는 유입하도록 합니다.
생태체계 또한 시스템이므로 폐쇄되어 있으면 생태체계 내부로부터 공생 기능이 점차 약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생태체계의 안정성을 위해 외체계와의 연결 또는 유입을 도모합니다.
당사자의 관계망이 부족할 경우 외체계로부터 새로운 관계를 편입하여 직접 공생 관계를 맺도록 돕습니다.
이는 생태체계의 경계를 넓혀 새로운 공생 관계를 도모하는 것입니다.
또한 생태체계와 외체계의 연결을 통해 공생성을 강화합니다.
외체계로부터 새로운 지지, 격려 및 자원을 공급받아 생태체계 구성원의 공생수용능력을 높입니다.
결과적으로 생태체계의 공생수용능력을 높이는 것입니다.
#
다만 도모하는 순서와 우선순위가 있습니다.
먼저 생태체계 내부를 도모하는 것이 우선이요,
외체계를 연결, 유입하는 것은 그 다음입니다.
그렇다고 하여 외체계를 무시할 수도 없습니다.
외체계가 풍성해야 생태체계 또한 안정성을 지속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외체계를 충분히 고려하는 것 또한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모음집 > 복지와 생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계의 안정성, 탄력성, 적응주기 (0) | 2013.04.04 |
---|---|
사회사업 생태체계 복원 모델 (0) | 2013.04.03 |
사회복지사의 활동으로 생태체계를 교란하는 경우 (0) | 2013.03.29 |
생태체계의 전통과 지식 (0) | 2013.03.28 |
사회사업가가 우선 집중할 바 (0) | 2013.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