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체계의 필수조건 : 환경과의 구조접속

2013. 6. 20. 08:00모음집/복지와 생태

당사자체계는 하위체계인 

생물체계와 심리체계로 구성됩니다. 





생물체계란 

여타 다른 동물과 유사한 방식의 체계입니다. 

생존을 위해서는 의식주 등이 필요한 생물체계입니다. 


심리체계란  

마음과 의식의 작용으로 자의식을 가지며, 언어를 사용하는 등의 특성을 보입니다. 

심리체계란 인간이 가지고 있는 특성 중 하나로 

생물체계로서의 특성만 가진 동물과는 다른 특성입니다.


그렇다면 마음과 의식 즉 심리체계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유지될까요?


#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심리체계는 환경과의 구조접속에 따른 산물입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심리체계로부터 나타나는 특성인

자의식, 언어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살펴봅니다. 



먼저 자의식부터 살펴보면, 

무엇인가를 인식하고 이로써 자의식을 갖는 것은 

환경과 구분되는 자신을 발견할 때 가능합니다. 


환경 속에는 타인도 포함되어 있는데, 

타인과 자신의 다른 점을 발견하면서

자연스럽게 자의식이 발현합니다. 

타인과 자신을 구분하지 못하면 자의식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자의식은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닌, 

환경과의 구조접속에 따른 산물입니다. 


#


언어도 마찬가지입니다. 

인간은 환경과 특히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언어를 창출하고 조합함으로써 언어를 만들어갑니다. 


만약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없다면

언어를 창출하고 조합할 수 없습니다. 


환경 특히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없음으로 언어 획득에 실패한 예는 

늑대인간으로 불리는 인도의 두 아이 사례에서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헬렌켈러가 의사소통을 습득하는 과정에서도 알 수 있습니다. 

영화에서 초기 설리번 선생은 헬렌켈러에게 사물을 만지게 하고 사물의 이름을 수화로 가르칩니다. 

하지만 헬렌켈러는 사물과 이름을 연결하지 못한 채 기계적으로 외울 뿐입니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자신이 하는 수화가 사물의 이름이라는 것을 깨닫고, 

이 순간부터 의사소통 능력을 습득합니다. 


다음은 영화 속 헬렌켈러가 설리번 선생의 도움을 받아 

수화와 사물의 이름을 연결하는 장면입니다. : 물(water)



이 과정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언어 또한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환경과의 구조접속에 따른 산물입니다. 


#


사회사업은 생태체계 구성원으로서의 당사자체계를 돕습니다. 

당사자체계 중 생물체계만 돕는 것이 아닙니다. 

심리체계까지 포괄합니다. 


심리체계는 환경체계와의 구조접속을 전제로 합니다. 

환경체계와의 구조접속을 잃으면 심리체계는 발현하기 어려우며,

심리체계의 특성인 인식도, 자의식도, 언어도 약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당사자를 인간으로 도우려면 환경과의 구조접속을 도와야 합니다. 

특히 당사자의 심리체계를 고려하면 환경과의 구조접속은 필수로 여겨야 합니다. 


만약 어떠한 이유에서건 사회사업이 당사자를 환경으로부터 분리한다면 

당사자의 심리체계는 점차 약화되어 

오직 생물체계로서의 특성만 남게 될지 모릅니다.  


이는 당사자를 돕기 보다 

오히려 당사자의 인간 특성을 훼손하는 역행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1

  1. 참조) 앎의나무, 움베르또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갈무리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