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3. 14. 08:00ㆍ모음집/복지와 생태
개체는 환경과의 공진화 과정 속에서
역동적으로 자기 자신을 생산합니다.
사회사업은 생태체계를 대상으로 합니다.
먼저 생태체계 내부로는
당사자와 환경이 상호연결되어 공진화합니다.
이 과정을 거치면서 당사자와 환경은 자기 자신을 새롭게 생산합니다.
생태체계 외부로는
환경인 태양,수분,대기 등과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생태체계 내부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내부 역동을 높이되,
동시에 생태체계 자신도 새롭게 생산합니다.
생태체계는 내부 역동 및 외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을 새롭게 생산합니다.
즉 자생체계입니다.
#
그렇다면 사회사업에서 생태체계가 극상에 다다르면 어떤 모습일까요?
이는 상태와 구조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생태체계의 상태 측면에서 살피면,
공생성이 안정되었음을 뜻합니다.
하지만 상태의 안정 만으로는 부족합니다.
극상이란 구조의 측면에서 살피면 자생체계를 갖추어야 합니다.
즉, 생태체계가 내부 역동과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스스로의 공생성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자기생산구조를 갖추어야 합니다.
그래야 안정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체계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태체계의 극상이란,
구조로서 자생체계를 갖추고,
상태로서 공생성의 안정성을 나타낼 때
비로소 극상으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생태체계 극상 구조로서 자생체계를 염두에 둔다면,
사회사업의 발전과 퇴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회사업의 개입이 더 커지는 것은 발전과는 거리가 멀고 퇴보에 가깝습니다.
사회사업의 개입 수준이 높아진다면 생태체계의 구조는 자생체계가 아닌 의존체계에 가까워집니다.'모음집 > 복지와 생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체계 위계와 조작적 정의 (0) | 2013.03.21 |
---|---|
하나의 단위로서 사회사업적 생태체계 구상 (0) | 2013.03.19 |
공진화 그리고 사회사업 : 로트카-볼테라 방정식 (0) | 2013.03.12 |
생태체계 공생성의 천이 단계 - 초기 전략과 후기 전략 (0) | 2013.03.07 |
다중극상과 공생의 모습 (0) | 2013.03.05 |